자본감소3 [유상감자] 숫자는 줄고 전략은 명확해진다 “사람들은 감자를 꼭 안고 있어요. 농부는 그 모습을 말없이 바라보죠.”주주가 보유한 주식을 상징하며, 유상감자는 이를 일부 회수하려는 구조다. “농부가 감자를 조금만 달라고 하네요. 대신 돈을 드릴 거래요.”회사는 주식을 주주로부터 사들이고 현금을 지급한다. “감자는 줄었지만 손엔 현금이 생겼어요. 농부도 감자를 바구니에 담고 있어요.”감자는 소각되고, 주주는 현금을 확보하며 자본금이 줄어든다. “감자도, 표정도 가벼워졌어요. 농부도, 사람들도 다시 출발할 준비가 됐어요.”감자 수는 줄었지만 구조는 정리되고, 남은 주식의 가치가 높아질 수 있다. 장점주식 수를 줄이면서도 주주에게는 현금을 지급하기 때문에, 주주 입장에서는 현금 유입이 발생한다는 장점이 있다.전체 발행주식 수가 줄어들면 .. 2025. 4. 16. [무상감자] 투자자라면 꼭 알아야 할 감자의 진짜 의미 처음 농부는 바구니 가득 감자를 수확했습니다.무려 100개나 되지만, 찬찬히 살펴보니 대부분은 작거나 찌그러졌고 상품성도 떨어졌죠.그래도 그 안에 몇 개는 A+라고 적힌 멀쩡하고 좋은 감자도 있습니다.이 장면은 겉보기엔 자본금이 크지만, 실제로는 건전하지 않은 상태의 기업을 상징합니다. 무상감자의 핵심인 자본금을 줄이되, 아무런 대가 없이 주주가 주식을 잃는 구조 무상감자는 회사가 자본금을 줄이기 위해 주식 수를 줄이는 구조이며,주주는 보유 주식 일부를 잃게 되지만, 현금 보상은 없다. 농부는 감자들을 하나씩 확인하며 상품성 좋은 감자(A+)는 GOOD 바구니로,나머지는 BAD 바구니로 옮겼습니다. 그리고 BAD 바구니는 과감히 정리했죠.이건 마치 무상감자를 통해 자본금 중에서 부실한 부분을.. 2025. 4. 15. [감자] 결정공시 쉽게 이해하기 감자란 무엇인가요? 감자는 회사가 자본금을 줄이는 행위를 말해요 쉽게 말하면 회사가 들고 있는 주식을 일부 줄이는 거예요 감자바구니에서 일부 감자를 덜어내는 것처럼요 감자를 하면 내가 가진 주식 수도 줄어요 감자를 회수해 가는 구조니까요 손에 들고 있던 감자를 일부 빼앗기는 느낌이죠 회사마다 이유는 다르지만 보통은 재무 상태를 개선하거나 손실을 메우기 위해서 감자를 해요 썩은 감자나 작고 못난 감자를 골라내는 것처럼 필요 없는 주식을 덜어내는 거예요 감자 이후에 남은 주식은 적지만 남은 자본이 더 건강해진 거예요 줄어든 감자 바구니에는 A플러스 등급 감자만 남아 있는 것처럼요 감자는 크게 무상감자와 유상감자로 나뉘어요 무상감자는 그냥 회사가 공짜로 회수하는 것이고 유상감자는 돈.. 2025. 4. 15. 이전 1 다음